2024년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당 부통령 후보였던 마이크 터 메이트(Mike ter Maat)를 포함해 40여 명의 전 당원이 공화당 내 '공화당 자유 코커스(Republican Liberty Caucus, RLC)'에 합류했다.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여전한 공화당 내부에서 '재정 보수주의' 가치를 강화하려는 전략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재정보수주의(Fiscal Conservatism)란? 정부지출 축소, 균형재정, 부채억제, 낮은 세금, 시장중심 정책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 경제 이념이다. *공화당 자유 코커스란? 공화당 내 자유지상주의자들의 정책조정 조직으로서 비영리 정치조직이다. 터 메이트(Mike ter Maat)는 2024년 체이스 올리버(Chase Oliver)와 함께 자유지상주의 당(Libertarian Party) 대선 후보로 출마했으며, 이후 올해 초 공화당 자유 코커스에 참여했다. 그는 "연방 정책에 실질적 영향을 줄 싸움은 공화당 내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트럼프 이후 공화당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이번 합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대선 기간 동안
현재 미국 LA에서 일어나는 폭동이 매우 심각한 양상을 띄고 있다. 폭동 첫날에만 LA 보안관 사무소 소속 경찰관 10명이 폭도들에 의해 부상을 입었으며, 지금도 지속적으로 무력시위, 폭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 LA 폭동을 두고 민주당 소속 진보 성향 정치인들과 언론인들이 일제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향한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이들은 ICE(이민 및 세관 집행국) 반대 폭동에 대해 ‘평화적 시위’라 주장하며 트럼프를 향해 ‘미국의 히틀러’라고 부르는 등 과격한 발언을 서슴치 않고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발언은 아래와 같다. 1. 트럼프는 ‘미국의 히틀러’다. 캘리포니아 민주당 소속 에릭 스윌웰 하원의원은 토요일 ‘노 킹스(No Kings)’ 집회에서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의 히틀러”라고 발언했다. 그러나, 스윌웰의 해당 발언은 과거 자신의 발언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 극좌 성향의 민주당원이자 팡팡(Fang Fang)의 동료였던 스윌웰은 과거 2018년 자신의 SNS를 통해 미국 시민을 상대로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며 위협했다. 2. 트럼프는 ‘국내 테러리즘’을 자행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민주당 시드니 캄라거-도브 하원의원은 CNN과의
미국의 부모 권익 단체인 ‘American Parents Coalition (APC)’이 트랜스젠더 정책으로 남성의 여성 탈의실 출입을 허용한 YMCA를 트럼프 행정부에 ‘타이틀 나인’ 위반 조사를 공식 요청했다. APC 대표이사인 알리 마레는 지난 10일 보건복지부, 교육부, 주택도시개발부 장관에게 서한을 통해 “자신을 여성이라 주장하는 남성이 여성 탈의실과 샤워장을 이용하고, 타 여성과 어린 소녀들에게 자신의 나체를 노출했다”라며 YMCA의 타이틀 나인 위반을 문제 제기했다. 데일리 시그널의 보도에 따르면 YMCA는 2017년부터 생물학적 남성 참여자 및 직원이 자신이 주장하는 성정체성에 맞춰 침실, 욕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지침을 도입했다. 이후, 일부 지역 YMCA 지부에서는 실제 생물학적 남성이 성정체성에 따라 여성 전용 화장실, 라커룸 등에 출입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실제, 4월 YMCA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지부에서는 엄마와 어린 딸이 여성 탈의실을 이용하던 중, 나체의 남성이 들어오는 사건도 있었다. 문제의 남성은 “왜 탈의실에 있냐”는 질문에 “자기야, 난 여자야(Honey, I’m a woman)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YM
미국 내 트랜스젠더 권익을 두고 논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미국의 보수 논객들은 “좌파가 트랜스젠더 운동에 매몰되면서 역설적으로 여성의 권리가 희생당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미 언론사 데일리 시그널의 빅터 데이비드 한센 박사는 최근 칼럼을 통해 “본래 좌파 진영은 여성 평등과 권익을 외쳐왔으나, 이제는 생물학적 여성의 권리를 무참히 짓밟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센 박사는 대표적인 예로 여성 스포츠 산업을 언급했다. 과거 미국 민주당은 여성의 스포츠 산업 참여와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과 제도들을 도입해왔으나, 최근에는 LGBT 어젠다를 강조하면서 여성들이 스포츠 산업에서 설 자리를 잃게 만들고 있다. 실제 복싱, 파워리프팅, 수영, 골프 등 각종 다양한 스포츠 산업에서 생물학적 여성들이 트랜스젠더 여성(MTF, 남성에서 여성)과 함께 경쟁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스포츠의 공정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한센 박사는 “전체 인구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트랜스젠더들을 위해 다수인 일반적인 여성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기존 민주당의 정체성과도 크게 충돌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미국 내 트랜스젠더 인구는 약 1.6%에 불과하지만,
지난 달 중순,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가 가자 지구에 대한 인도적 지원 재개를 허용했다. 이스라엘과 미국 정부는 인도주의 재단(GHF)를 통해 구호물자 제공을 하려했으나, 하마스가 가자지구로 들어오는 구호물자 전체를 통제하면서 구호물자 제공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GHF는 하마스의 간섭과 방해에도 불구하고 가자지구 내로 수백만 끼에 해당하는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GHF가 가자지구 내로 쉽게 들어가지 못한 이유는 GHF가 하마스의 구호물품 유통망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하마스는 GHF가 자신들과 협력하지 않고, 이스라엘과 미국의 지원을 받는다는 이유로 가자지구 내로 유통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하마스는 유통망을 막은 것 뿐만 아닌,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이스라엘과 미국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계략이라 선동하면서 GHF의 구호물품을 받지 말라고 강조했다. 이런 방해 가운데도 GHF는 가자지구에 구호물품을 유통했으며, GHF는 하루에 트럭 45대 분량의 식량을 제공했다. GHF에 따르면 유통한 식량은 총 250만 끼에 해당한다. 그러나, GHF의 물품이 전달된 다음 날 하마스는 8명의 GHF 직원을 살해했다. 또한, 유출된 하마스의 텔레그램 내용 중에는 하마
이란과 이스라엘의 협상이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란이 핵프로그램을 통해 핵무장을 강화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란은 핵 프로그램에 대한 미국과의 협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군사력 강화를 위해 중국에 탄도 미사일용 부품을 주문했다. 중국이 이란에 공급하고 있는 물질은 과염소산암모늄으로 주로 폭발물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해당 폭발물은 수백 발의 탄도 미사일에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몇 달 안에 이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이란은 이 물질 중 일부를 예멘 후티 반군에게 공급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 헤리티지 재단의 산하 기구 앨리슨 국가안보센터의 로버트 그린웨이 소장은 데일리 시그널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란이 작년 이스라엘 공습 이후 재무장을 위해 중국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이란의 무기 구매는 이스라엘, 미군 등 우리의 파트너 및 동맹국들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더 나아가 이란의 공격 능력을 극대화시키면서 세계 에너지 시장 교란이 생길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헤리티지 재단의 전문가에 따르면, 이란은 우라늄 농축을 지속적으로 하고
현재 미국 LA에서 이민자 문제와 관련해 대규모 폭동이 발생해 전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번 폭동에 대해 뉴욕의 주지사 개빈 뉴섬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자 트럼프 행정부는 일부 방위군을 투입해 폭동을 진압하고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고자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트럼프가 독재를 통해 개인의 자유와 시민들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LA 폭동은 단순한 시민들의 시위·집회 수준이 아닌, 불법 이민자들의 폭동 양상으로 번져나가고 있다. 미 언론사 데일리 시그널의 보도에 따르면,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ICE(이민 및 관세 집행국)과 불법 이민자들의 충돌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그 가운데, 시위자들은 미국 국기를 훼손하고는 멕시코 국기를 비롯해 각종 남미 국가의 국기를 흔들고 있다. 이들은 불법 이민자들의 추방을 반대하기 위해 길거리에 나와 폭동을 일으켰지만, 실제 시위자들 중 일부는 LA는 ‘멕시코 땅’이라 주장하는 등, 미국에 대한 정체성 자체를 흔들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멕시코 상원 의장은 LA와 미국 남서부가 멕시코의 것이 돼야한다는 식의 주장을 펼치기도 했으며, 유명 팝스타 케이티 페리도 SNS를 통해 L
미국에서는 매해 주기적으로 성소수자들을 위한 행사인 ‘프라이드 퍼레이드’가 개최된다. 이는 우리나라의 퀴어퍼레이드와 비슷한 행사로 미국에서는 6월을 성소수자의 달로 지정해 매우 큰 규모로 퍼레이드를 진행한다. 지난 바이든 행정부에서 DEI 정책들로 성소수자에게 힘을 실어주면서, 기업들은 LGBT와 DEI 단체들을 지원하는 등 프라이드 행사에 큰 금액을 후원하기도 했다. 실제 포브스에 따르면, DEI에 대한 기업 후원이 2016년부터 2022년 사이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LGBT와 DEI에 대한 문제제기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DEI에 대한 법적 문제가 제기되자 기업들이프라이드 행사에 지원을 중단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스터카드, 펩시, 컴캐스트 등의 기업이 프라이드 행사에 후원을 중단했다. 그 결과 샌프란시스코의 프라이드 단체들의 후원금액은 약 20만 달러 감소했으며, 솔트레이크시티의 프라이드 모금액은 50만 달러 가까이 감소했으며, 뉴욕의 프라이드 모금액은 20%가량 감소했다. 이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DEI와 LGBT 단체에 직접적인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업들의 이런 움직임은 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나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 첫 전화 통화를 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대통령실은 “양국 정상이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실무 협상을 독려하고, 조속한 합의 도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외신 중에서는 로이터통신이 해당 소식을 가장 먼저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재명 대통령실 발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미국으로 초청했으며, 양국은 실용적 외교의 복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 통화와 관련해 아직까지 공식적인 브리핑이나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특히 이번 통화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이후 첫 외국 정상과의 소통이라는 점에서, 미국 측의 반응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통화가 이루어진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오늘 AP를 상대로 큰 승리를 거뒀다. 그들은 ‘아메리카만(GULF OF AMERICA)’에 대한 사실이나 진실을 밝히기를 거부했다. 가짜 뉴스다!!!” 이 발언은 미 워싱턴 D.C. 연방 제2항소법원이 백악관이 AP 통신 기자들의 일부 행사 접근을 제한한 조치를 사실상 인정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5월 30일(현지시각)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중국이 최근 체결한 미·중 무역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고 비판하는 글을 게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게시물을 통해 "중국이 우리와의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며. '좋은 사람(Mr. NICE GUY)' 역할은 이제 끝났다"고 밝혔다. 지난 5월 12일, 미국과 중국은 각국 수입품에 부과한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45%에서 약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각각 인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중국이 중대한 경제 위기에 처해 있었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신속하게 합의를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중국이 합의 내용을 완전히 위반했다"며 중국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향후 미·중 무역관계에 다시 긴장감이 조성될 가능성이 크며, 향후 추가적인 관세 부과나 경제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5월 29일(현지시각)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