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피터슨 #결혼전동거 #혼전동거 바른말오른말 제공 |
#조던피터슨 #프랑스혁명 #여신숭배 바른말오른말 제공 |
미국의 극좌파 의원들이 최근 부유세라는 법안을 다시 발의했다. 해당 법안의 이름은 무제한 불평등 성장 반대 및 지역사회 피해 역행 법안(Oppose Limitless Inequality Growth and Reverse Community Harms Act, OLIGRCH Act.)으로 1억 2천만 달러 이상의 재산에 대해 2%부터 8%에 달하는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이다. 캘리포니아의 바바라 리(Barbara Lee, 민주당) 하원의원은 해당 법안이 “극도로 많은 부에 세금을 부과해 그로 불평등을 줄이고 귀족들이 일방적으로 가하는 민주주의에 대해 맞서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주장했다. 얼핏 보면 불평등을 줄이고, 부유한 사람의 지갑을 열어 가난한 사람에게 주는, 일명 노블리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사회 지도층이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감당하는 것을 의미) 처럼 느껴질 수 도 있지만, 그 실상은 경제를 파괴하는 법안이다. 해당 법안이 통과가 되고 나면, 그 어느 누구일지라도 사업을 시작하거나, 은퇴 후 자금을 마련하거나, 자녀에게 물려줄 유산을 남기거나, 경제를 성장시키려는 사람들은 자신이 제아무리 열심히 하려고 하더라도 더 이상 노력하
2023년 5월 26일 대한민국에서 '인어공주' 실사 리메이크 버전이 개봉했다. '인어공주'는 1989년 만화영화로 개봉한 이후 아름다운 머릿결과 얼굴 그리고 목소리로 남자아이, 여자아이 할 것 없이 많은 인기를 끌었다. 그렇기에 '인어공주' 실사영화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기대와는 달리 '인어공주'는 개봉 이후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인어공주'를 흑인으로 캐스팅 하는 등, 원작에서 완벽하게 벗어나 그 속에 아름다운 동심이 아닌 ‘워크 컬쳐’(Woke Culture)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했기 때문이다. ‘인어공주’에 이어 지금은 ‘백설공주’ 실사 리메이크 버전이 비판을 받고 있다. 원작 ‘백설공주’ 감독의 아들인 데이비드 핸드(David Hand)는 ‘백설공주’ 실사 영화를 두고 “영화의 유산을 ‘파괴’할 수도 있다.”고 이야기하며 “아버지(원작 감독)와 월트 디즈니가 무덤에서 뛰쳐나올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백설공주’ 실사판 역시 원작을 파괴하고 ‘워크 컬쳐’와 ‘페미니즘’ 등 일명 PC주의(Political Correctness, 정치적 올바름)를 작품에 주입하고있기 때문이다. 그가 이렇게 이야기한 이유는 ‘백설공
지난 주말, 벅헤드의 그랜드 하얏트 애틀랜타(Grand Hyatt Atlanta)에서 열린 행사, 더 개더링(The Gathering)에서 공화당 대선후보 론 드산티스(Ron DeSantis)는 "종교의 자유, 그리고 부모의 권리에 대한 좌파들의 공격은 좌파사상의 정통성을 강요하려는 시도"라고 경고하였다. 이날 드산티스는 진행자인 에릭 에릭슨(Erick Erickson)의 질문에 답하며 자녀 교육에 있어 '발언권을 요구하는 부모들'이 어떻게 사회의 적이 되었는지' 이야기했다. 그는 "좌파들은 여러분들이 어떤 권리를 가지든 간에, 부모들과 그들이 추구하는 어젠다가 부딪힌다면 부모들이 무조건 권리를 양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유를 설명하였다. 그는 이런 양상이 '종교의 자유'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고 강조했다. 드산티스는 과거 축구장에서 축구경기 종료 후 무릎을 꿇고 기도했다는 이유만으로 실직되었다 대법원 판결을 통해 구제된 조 케네디(Joe Kennedy) 감독의 사례를 그 예시로 들었다. 그는 종교의 자유는 기독교인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어젠다에도 영향을 미치는 순간 침해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그는 "좌파들이 종교의 자유를 천부인권이 아닌 단
최근 몇 년 동안, 사람들에게 산후우울증에 대해 널리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해당 질환의 원인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이뤄지고 있으며, 산후우울증의 증가 요인 중 하나는 모성에 대한 평가절하 때문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산후우울증이란 출산 후 4주에서 6주 사이, 즉 산욕기 동안 겪을 수 있는 우울증을 이야기한다. 산후우울증에 걸리면 우울한 기분, 심한 불안감, 불면, 과도한 체중변화, 의욕 및 집중력 저하, 죄책감 등에 휩싸이게 되고 심하면 자살충동까지 들게되어 일상생활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베이비 블루스(Baby blues)라는 증상과는 별개의 것으로, 산후우울증이 더욱 강도가 강하며 발생 빈도도 높다. 미국의 헬스케어정보 포털 WebMD에 따르면, 산후우울증의 초기 징후는 여성이 "부모가 되는 것을 불행하다고 느끼는 것"이라고 한다. 만일 산모가 자신이나 아이를 해치고 싶다는 충동에 휩싸인다면, 이는 산후우울증 및 산후정신질환의 증상으로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러한 산후우울증은 특정 조건에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의 우울증과 유사하다. 그 예시로 여성들은 출산 직후 신체 내의 호
영화 ‘바비’가 ‘동성애 조장’과 ‘도덕성 파괴’라는 이유로 인해 알제리에서 상영이 금지되었다. 마고 로비와 라이언 고슬링이 출연한 영화 ‘바비’는 개봉 후 약 4만명의 관객이 동원되었지만, 알제리 문화예술부가 해당 영화의 상영 금지를 요청에 극장에서 상영이 중단되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중단 사유는 ‘동성애 조장’과 알제리의 ‘종교, 문화적 신념 혼란’이었다. 알제리의 민간 뉴스 사이트 ‘24H 알제리’에 따르면, 정부는 이 영화가 ‘도덕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것을 배급사인 MD Cine와 주요 영화관에 알렸다고 보도했다. 알제리에 이어 쿠웨이트 영화검열위원회 라피 알 수바이에(Lafi Al-Subaie) 위원장은 ‘바비’가 사회적으로 용인할 수 없는 행동을 부추기고 사회의 가치를 왜곡하는 사상을 퍼트린다고 비난했다. 이번 달 레바논의 문화부 장관 모하마드 모르타다(Mohammad Mortada) 장관도 “‘바비’가 ‘동성애와 성전환’을 사회적으로 조장하고 가족 단위의 중요성을 축소한다.”고 비판했다. 그로 인해 레바논 역시 해당 영화는 상영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모르타다 장관의 발언으로 바쌈 마우라위(Bassam Mawlawi) 내무부 장관은 보
미국은 젠더 디스포리아(성별 불쾌감)를 질병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신체를 정신적인 성 정체성에 맞게 바꾸는 의료 행위가 치료로 인정된다. 따라서 성전환 수술 또는 시술에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하지만 플로리다주는 미성년자 성전환에 세금을 쓰는 건강보험인 메디케이드(Medicaid)를 적용할 수 없도록 벌금을 부과했다. 이번 플로리다의 조치가 성전환 보장과 관련해 최초다. 5개의 메디케이드 의료 보험사는 세금을 미성년자를 트랜스젠더로 만드는 의료행위 때문에 플로리다의 규정을 위반했다. 플로리다 주정부는 위반행위마다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플로리다주가 제제를 가한 의료행위 중 하나는 16세 소녀에게 유방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사춘기 차단제와 미성년자에게 반대 성별의 호르몬을 주입하는 행위다. 플로리다 보건 당국은 이 위반으로 인해 벌금을 부과되었다는 내용의 편지를 의료 행위자들에게 보냈다. 건강관리국의 제이슨 웨이다(Jason Weid) 사무총장은 데일리 와이어 뉴스 팟캐스트 모닝 와이어 )에서 "이 건강보험들은 플로리다주의 규칙이 채택된 후에도 영구적이고 해로운 영향을 주는 미성년자 성전환을 보장했다"라고 말했다. 연방 판사는 최근 어린이의 성
* 데일리와이어의 편집자이자 유명 보수주의 오피니언 리더 벤 샤피로의 칼럼을 소개합니다. (칼럼의 Niceness는 '착함'으로, Kindness는 '친절' 親切로 번역했습니다.) Undergirding niceness is kindness — but kindness and niceness are not the same thing. 착함의 기반은 친절이다. 하지만 친절과 ‘착함’은 다르다. 누군가에게 착하게 군다(niceness)는 건 상대가 화낼 만한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친절(kindness)하다는 건, 상대에게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조심하라고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가 듣기 싫어하는 걸 말하는 게 친절이다. 마약중독자 친구가 있다면 “하던 대로 해”라고 말하는 건 착한 말이지만, 친절한 말은 아니다. 아이가 반복적으로 나쁜 일을 한다면 그대로 내버려 두는 게 착하게 대하는 거다. 하지만 절대 친절한 건 아니다. 친절은 상위 가치의 선을 믿는 믿음에 기반한다. 친절은 판단을 필요로 한다. 친절한 사람은 판단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마약중독을 벗어나는 게 실제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마약중독자에게 더 좋은 일이라고 판단해야만 한다. 어떤 행위가
* 미국 보수주의 잡지 내셔널 리뷰(National Review)에 소개된 6편의 탈성전환자의 이야기 중 하나를 소개 합니다. 성전환을 후회하며 성전환의 현실을 알리는 다른 청소년, 청년들의 이야기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자란 가르시아(26)는 멕시코 남성들의 마초적인 문화에 적응하지 못했고 어린 시절에 본인이 남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었다. 가르시아는 마초적인 문화에 적응하지 못한 채 성장하면서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한 혼돈을 겪었다고 한다. 그의 아버지는 트럭 운전기사로 일했기 때문에 그는 아버지와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그는 아버지로부터 멕시코 남성의 문화를 배울 수 없었다. 아버지와 시간을 보내지 못하면서 성정체성에 혼란을 가질 때 가르시아는 유튜브를 통해 트랜스젠더 개념을 처음 접하고 성 정체성에 대한 의심을 대학에 갈 때까지 지니고 살았다. 가르시아는 대학에 진학한 후 정신과 상담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그의 진료를 핑계로 멕시코에 있는 의사를 찾았고 집으로 돌아가는 조건으로 그에게 성매매를 강요했다. 그의 아버지는 가르시아가 성매매를 한다면 그의 성 정체성이 회복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