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현지 시각), 미국 역대 최고령 대통령 기록을 가지고 있던 조 바이든 미국 전 대통령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다고 그의 개인 사무실에서 공식 입장을 표명했다. 현재 82세인 바이든은 소변 증상이 심해진 끝에 지난주에 의료 진단을 받았고, 현재 암 치료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내셔널리뷰에 따르면, 바이든 개인 사무실 대변인 측은 성명을 통해 "지난주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배뇨 증상이 악화된 후 전립선 결절에 대한 새로운 소견으로 진료를 받았다"며 "16일에는 글리슨 점수 9점에 뼈 전이가 있는 전립선 암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대변인은 "이 암은 더 공격적인 형태의 질병이지만, 호르몬에 민감한 것으로 보여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며 "대통령과 가족들은 담당 의사들과 치료 옵션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든의 진단 중 '글리슨 점수 9점'은 빠르게 전이될 가능성이 높은 공격적인 형태의 암을 의미한다. 보통 글리슨 점수는 2~6점이면 저위험군으로, 7~10점이고 전립선 특이항원의 혈중 수치가 20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그는 암투병을 위해 항암 화학요법, 호르몬 치료, 그리고 다양한 통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 첫 전화 통화를 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대통령실은 “양국 정상이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실무 협상을 독려하고, 조속한 합의 도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외신 중에서는 로이터통신이 해당 소식을 가장 먼저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재명 대통령실 발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미국으로 초청했으며, 양국은 실용적 외교의 복원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 통화와 관련해 아직까지 공식적인 브리핑이나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특히 이번 통화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이후 첫 외국 정상과의 소통이라는 점에서, 미국 측의 반응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통화가 이루어진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오늘 AP를 상대로 큰 승리를 거뒀다. 그들은 ‘아메리카만(GULF OF AMERICA)’에 대한 사실이나 진실을 밝히기를 거부했다. 가짜 뉴스다!!!” 이 발언은 미 워싱턴 D.C. 연방 제2항소법원이 백악관이 AP 통신 기자들의 일부 행사 접근을 제한한 조치를 사실상 인정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5월 30일(현지시각)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중국이 최근 체결한 미·중 무역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고 비판하는 글을 게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게시물을 통해 "중국이 우리와의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며. '좋은 사람(Mr. NICE GUY)' 역할은 이제 끝났다"고 밝혔다. 지난 5월 12일, 미국과 중국은 각국 수입품에 부과한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45%에서 약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각각 인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중국이 중대한 경제 위기에 처해 있었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신속하게 합의를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중국이 합의 내용을 완전히 위반했다"며 중국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향후 미·중 무역관계에 다시 긴장감이 조성될 가능성이 크며, 향후 추가적인 관세 부과나 경제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5월 29일(현지시각)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