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아일랜드에서 급증하는 이민자와, 그들의 중범죄로 인해 반이민 시위가 발생했다. 해당 시위로 인해 아일랜드의 레오 바라드카르 총리는 기존의 ‘혐오표현 법안’을 개정했다. ‘혐오표현 법안’은 작년에 도입되었지만, 지나치게 급진적으로 평가와 함께 많은 문제들을 지적받고 있다. 해당 법안은 ‘폭력이나 혐오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자료 소지를 금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혐오’는 개인과 개인의 차원을 넘어 단체와 개인 그리고 주 그 이상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모든 종류의 혐오를 의미한다. 또한 해당 법안에서 말하는 ‘자료’라는 것은 데이터를 변환 후에 보고, 듣고, 읽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모든 범주에서의 혐오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자료의 소지를 금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당 법안으로 인해 최근 아일랜드에서 일어난 반이민 시위에 대해서도 문제가 생기고 있다. 지난 23일 이민자가 아일랜드 더블린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서 아동 3명과 5명의 시민을 흉기로 찌르는 범죄로 인해 시민들이 반이민 시위가 발생했다. 그러나 ‘혐오표현 법안’은 국가적 또는 민족적 출신에 의해 차별해선 안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이민에 반대하는
최근 긴장과 갈등이 고조되어 가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포로 교환 거래를 통해 임시 휴전에 돌입했다. 이에 하마스는 인질 50명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포로 150명을 풀어주었다.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의 거래가 합리적이거나 공평한 것처럼 소개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에 풀려난 이스라엘 인질들은 아무런 범죄도 저지르지 않은 무고한 민간인들이었다. 그 중에는 10세 미만의 어린이들과 생후 갓 10개월된 영아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반해 이스라엘이 풀어준 팔레스타인의 수감자들은 대부분이 범법자들이며 그 중 17명은 살인미수 혐의를 받은 중범죄자들이다. 이스라엘은 포로 교환을 통해 예루살렘에서 사람을 부엌칼로 찌른 쇼로쿠 드와이아트(Shoroqu Dwaiat)와 모하메드 아무 카티시(Mohammed Abu Katish), 차량 폭발을 통한 살인 미수를 저지른 아스라 자베스(Asraa Jabes), 그리고 경찰의 목을 찌른 미소운 무사(Misoun Mussa) 등 중범죄자들을 석방했다. 반면 하마스는 자신들에 의해 부모가 모두 살해되고 사람들이 납치되는 것을 직접 지켜본 네 살짜리 아이 애비게일 에덴(Abigail Eden)과 3살짜리 어린아이 야헬 샬롬(Yah
현재 미국의 교육 커리큘럼은 K-12 프로그램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해당 커리큘럼 중 '미디어 활용 능력 강좌'는 학생들에게 일명 '가짜뉴스'를 통해 잘못된 정보와 혐오 기준을 교육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논란이 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Gavin Newsom)은 최근 공립 교육 과정에 K-12 커리큘럼 내 '미디어 활용 능력 강좌'를 의무화 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뉴욕의 주지사 캐시 호출 (Kathy Hochul)도 학생들에게 '음모론', '가짜 정보', '허위사실 및 온라인 내 혐오 표현 인식'을 교육하기 위한 K-12 커리큘럼을 발표했다. 그 외에도 델라웨어, 뉴저지 심지어는 텍사스까지도 공립학교 내 미디어 활용 능력 강좌를 의무화 시키는 주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 내 좌파 성향의 기관들은 이전부터 가짜 뉴스와 온라인 내 혐오표현에 대해 경고해 왔다. 그리고 이들의 가짜 뉴스에 대한 경고는 사람들의 발언에 대한 단속과 온라인 검열 강화로 이어졌다. 주류 언론매체에서는 헌터 바이든 사건부터 코로나19 연구실 누출 등 실제 사실임에도 허위사실이라고 보도했다. 미 민주당에서 말하는 ‘가짜 뉴스’는 헌터 바이든 사건 등은 음모론에 불과하며
지난 19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톨릭 교회가 주최한 '세계 빈자의 날'을 맞아, 바티칸 오찬에 성소수자와 라틴 아메리카 이민자 등의 사람들을 초대했다. 코로나19 판데믹 당시, 성소수자와 이민자 등이 대거 실업을 겪었으나 교황이 이들에게 도움을 준 이후, 교황과 트랜스젠더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해왔다. AP통신에 따르면 트랜스젠더들은 이제 매달 교황과 VIP 방문을 하고, 돈과 약을 언제든지 받을 수 있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랜스젠더 단체의 회원인 안드레아 파올라 토레스 로페즈(Andrea Paola Torres Lopez)는 AP통신을 통해 "이전에는 성당이 우리를 사람으로 보지 않고 악마로 대했으며 우리에게 문을 닫았다"고 말했다. 교황 알현실에서 열린 오찬에는 성소수자들 외에도 노숙자 등도 1,200여명이 참석해 식사와 후식까지 함께 했다. 교황실이 트랜스젠더를 오찬에 초대한 것은 이달 초 바티칸이 LGBTQ+를 세례를 받을 수 있도록 승인 문서를 발표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문서는 브라질 산토 아마로(Santo Amaro) 주교 세페 네그리(Giuseppe Negri)가 LGBTQ+에 대해 ‘두비아(Dubia, 의심) 질의서’에
지난 23일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폭동은 더블린의 한 초등학교에서 알제리계 귀화 아일랜드 시민이 휘두른 흉기로 아동 3명과 5명의 자국민이 피해를 입게 되자 수백 명의 사람들이 반이민 시위를 일으키면서 발생했다. 이날 폭동으로 인해 흉기에 부상을 당한 5세 어린이와 30대 교사는 중태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으며 가해자의 범죄 동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아일랜드 경찰청장 드류 해리스는 이번 폭동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이번 폭동의 심각성을 이야기했다. 아일랜드에서 이민자 문제는 이번만 있던 것이 아니었다. 작년에는 한 이민자가 학교 교사를 살해했으며 이전부터 아일랜드에서는 이민자로 인한 갈등이 빚어져왔다. 그리고 지난 주 귀화자가 또다시 중범죄를 저지르면서 참고 있던 시민들이 폭동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에 레오 바라드카르(Leo Varadkar) 총리는 이번 폭동 이후 경찰이 안면 인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법안과 증오 표현법 개정안을 발표하면서 폭동에 대한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해당 사건에 대해 MMA 슈퍼스타 코너 맥그리거(Conor McGregor)는 "아일랜드가 '전쟁 중'이며 '심각한 위험'
마블은 히어로 영화로 할리우드를 평정했었다. 전 세계를 매료시킨 마블의 소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시작은 2008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Robert Downey Jr.)의 아이언맨이었다. 아이언맨은 지금까지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최고의 슈퍼히어로였으며 MCU의 인기는 2019년 '어벤져스 : 엔드게임'를 개봉할 때가 절정이었다. 당시 마블은 다양한 영화에서 등장한 마블의 캐릭터들과 영화가 서로 얽히고 섥혀 하나의 큰 이야기를 만들어나갔고 이는 대박을 치게 되었다. 2008년부터 10년간 개봉한 32편의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0억 달러에 달하는 돈을 벌어들이게 되었다. 마블은 모든 히어로들은 갈등과 어려움 그리고 빌런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지금 마블은 마블의 히어로가 아닌 실제 마블 자신들이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있으며 마블 자신이 마블이라고 하는 스스로에게 빌런이 되어있다. 지난 주말 극장에서 개봉한 MCU의 33번째 영화 '더 마블스'는 북미 개봉주말 총액 46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2008년 이후 개봉한 MCU 영화 중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인크레더블 헐크'와 '토르 : 천둥의 신'이 저조한 성적을 기록
11월 25일 오전 11시 경남 창원에서 ‘제 3회 경남퀴어문화축제’가 개최되었다. 같은 날 오후 1시 10분 같은 지역에서 ‘동성애(퀴어)퍼레이드 반대 집회’가 개최되었다. 같은 날 같은 지역에서 열린 집회였지만 그 반응은 첨예하게 갈렸다. 동성애퍼레이드 반대 집회에서는 남녀노소 약 2천명의 인원이 운집했다. 주최 측에 따르면 500명으로 제한된 최대 인원 수를 가득 채워 경찰의 통제 하에 시가행진을 하기도 했다. 반면 퀴어축제에는 넓은 광장에 수십명의 참석자가 모이며 황량한 경관을 연출했다. 대로를 마주하고 동일한 시간에 열린 두 개의 집회에 참석한 시민의 수를 통해 경남과 창원 시민들의 관심과 마음이 어느 쪽으로 기울어 있는지 단번에 알 수 있었다. 경남기독교총연합회와 바른가치수호경남도민연합 등 다양한 기독교‧보수 단체가 함께한 반대 집회에는 어린 아이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이 나와 동성애와 성 정체성 교육에 반대했다. 동성애 반대 집회에서는 ‘퀴어축제가 청소년의 성 윤리를 파괴’하며 ‘동성애와 동성결혼을 옹호해 정상적인 가족과 결혼을 파괴’한다며 퀴어축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요즘 K팝과 K-드라마가 유행이며 전 세계적으로 K-문화에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이 진행된 지 6주째, 양측은 목요일 아침부터 나흘간 전투를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이어 하마스는 카타르, 미국 그리고 이집트의 협정에 따라 인질 50명을 풀어주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포로150명을 풀어주기로 했다. 석방된 150명의 팔레스타인 수감자들의 대다수는 여성과 미성년자였지만, 그 중 17명이 살인 미수로 유죄를 받았다. 그 외에는 중범죄와 이스라엘 군인에게 돌을 던진 혐의로 유죄를 판결받았다. 이는 무고한 여성과 어린이 인질 50명과 범법자 150명과 교환하는 것이다. 이전 2011년 이스라엘은 인질로 잡혀있는 이스라엘 군인 한 명을 위해 1,000명 이상의 수감자를 석방했으며 그 중에는 살인 혐의로 복역중인 하마스 테러리스트도 수백 명이 있었다. 이런 점을 보아 이스라엘이 자국민 한 사람을 얼마나 귀하게 여기는지, 자국민 한 명이라도 본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나흘간 임시로 전투를 중단했지만 하마스가 인질 10명을 추가로 풀어줄 때마다 하루씩 연장된다. 그러나 이런 거래는 언제까지나 ‘임시’이기에 전쟁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휴전기간이 만료되
지난 10월부터 시작된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분쟁 이후 6주가 지난 현 시점까지는 이란이 분쟁에 개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란의 이슬람 정부 재정적 지원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뿐만 아닌 중동 전역을 혼란에 빠뜨리고, 이란의 '촉수'는 하마스, 헤즈볼라 등 테러조직들과 이라크 민병대, 시리아 정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란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물 밑에서 촉수로 중동 전역에 영향을 미치는 '문어'에 비유되었다. 1979년 호메이니 혁명 이후 이란의 목표는 두 가지로 중동에서 서방세력의 영향을 축소하는 것과 자신들의 영향을 확대해 세계적인 이슬람 칼리프 국가를 만드는 것이다. 이슬람 국가를 만드는데 있어 미국의 영향을 축소해야하는 측면에서 이스라엘은 가장 큰 눈엣가시이기에 이슬람 국가들과 이란은 유대인, 이스라엘은 극도로 싫어한다. 그렇기에 이란은 이스라엘과 미국이 지원하는 국가를 반복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이란이 그를 실행하는 도구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 그 둘은 이스라엘과의 갈등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란은 이스라엘을 공격하기 위해 하마스에만 매년 최소 1억 달러 가량을 지원하고 있다. '더 타임즈 오브 이스라엘'(
‘버즈 라이트이어’, ‘스트레인지 월드’, ‘인어공주’, ‘앤트맨과 와스프 : 퀀텀매니아’, 그리고 ‘더 마블스.’ 이들은 최근 개봉한 마블의 영화들로 모두 처참하게 실패했다. 디즈니는 연이은 처참한 실패로 인해 ‘백설공주 개봉 연기'라는 선택을 하게 되었다. 박스오피스 분석가 발리언트 레네게이드(Valient Renegade)에 따르면 디즈니는 최근 연이은 실패로 인해 박스오피스에서 약 10억 달러 가량의 손실을 입었다. 애니메이션과 영화 명가라고 불리는 디즈니에 도대체 무슨 문제가 있길래 연이은 실패를 하게 되었을까 최근 디즈니가 개봉한 영화들은 의도적으로 스토리라인을 망가뜨리고 원작을 훼손하고 있으며 ‘워키즘’이라는 자신들의 사상을 강제로 주입하고 있다. 어린이용 영화인 ‘버즈 라이트이어’에는 동성애 키스 장면이 등장하며 ‘스트레인지 월드’에는 청소년 게이 로맨스가, ‘인어공주’에는 다양성을 위해 아프리카계 아리엘이 등장하면서 원작을 처참히 붕괴시켰다. ‘더 마블스’에는 여자들도 (남자들의 도움없이도) 혼자서 해낼 수 있다(Girls can do anything)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남성은 무능하고 약하게 등장한다. 또한 ‘백설공주’의 주연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