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유명 팝스타 그룹 푸시캣 돌스(Pushcst Dolls)의 가수 카야 존스(Kaya Jones)가 최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생명을 위한 행진'에서 나눈 자신의 이야기가 주목받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각종 정책들이 나오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프로라이프(태아 생명 존중)와 프로초이스(산모 자유 존중)가 크게 이슈가 되고 있다. 공화당과 민주당은 각각 프로라이프와 프로초이스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이번 바이든 행정부는 프로초이스 정책들을 강조했으며 이에 대해 미국 내에서 비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나 최근 여론조사 결과 미국의 대다수 국민들이 강간이나 근친상간과 같은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낙태를 반대하는 여론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산모와 태아를 지원하는 임신지원센터나 낙태를 방지하는 정책들이 환영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신의 커리어를 위해 낙태를 한 것에 대해 후회한다는 유명 팝스타 카야 존스가 이야기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녀는 생명을 위한 행진에서 자신은 그래미 상과 같이 큰 상을 받았지만 자신이 사회적으로 아무리 성공했더라도 낙태를 통해 자신이 포기한 것에 비하면 사회적 성공은 아무 가치가 없다며 후회를
미국의 플로리다 주 교육위원회는 지난 수요일 플로리다 주립 대학의 DEI 프로그램 및 활동에 주정부 및 연방정부의 지원금 사용을 금지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플로리다 내에는 브라우워드 대학, 팜비치대학 등 28개의 주립 대학들이 있으며 이번에 새로 생긴 규정에 의해 각 학교들은 DEI 프로그램에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다. 플로리다 주 교육위원회 이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이번 규정은 처음으로 DEI를 정의했으며, 이 규정으로 플로리다 대학 시스템(FCS) 기관이 차등 또는 우대를 목적으로 인종이나 성별 등으로 개인을 분류하거나 DEI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 연방 지원금 사용을 엄격히 금지한다"고 전했다. 또한 "학생들에게 국가의 과거를 가르칠 때 정확하고 명확한 사실에 근거해서 가르쳐야하며 이를 위해 미국 역사 교육 과정을 개편했다"고 덧붙였다.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는 교육과정과 학계에서 DEI부서가 불필요하다 판단했으며, 교육 개정을 통해 DEI 부서들을 없애고 있다. 그는 지난 5월 주립대학들이 DEI 프로그램에 주·연방지원금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이후 해당 법안으로 인해 주립 대학들에 대한 DEI 프로그램 자금 지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트랜스젠더 골프선수가 최근 플로리다에서 개최된 여자 골프 토너먼트에 우승해 논란이 되고 있다. 트랜스젠더 골프선수 헤일리 데이비슨(Hailey Davidson)은 지난 17일 플로리다 올랜도 근처 리조트에서 개최된 ‘NXXT 여성 클래식’에서 3라운드 경기를 +4타로 마무리하면서 우승했으며 데이비슨은 LPGA(여자프로골프) 출전권에 한 발 더 가까워졌다. 데이비슨의 본명은 제임스 스캇 데이비슨(James Scott Davidson)으로 남성 골프선수로 활동했다. 그러나 골프위크에 따르면 그는 여성으로 성전환수술을 하기 위해 2015년 9월부터 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모든 활동을 일시 중단했다. 데이비슨은 성전환을 받고 난 뒤, 여성 프로 골프선수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성전환 수술 이후 5년 뒤인 2021년 5월 첫 여성 부문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6월까지, 데이비슨은 LPGA로부터 여성부문 참가 자격을 인정받았으며 여성 프로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는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그의 이런 행보에 대해 사람들의 비판이 일자 그는 성전환 이후 자신이 남성일 때 가졌던 모든 힘이 사라졌으며 남성이 갖는
미국 공화당 소속 의원이 낙태 시술 전 산모에게 의무적으로 태아 초음파검사를 받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11일 미국 애리조나주 공화당 소속 앤디 빅스(Andy Biggs) 연방 하원의원 발의한 '사전 초음파 검사법'에 따르면, 임신한 산모는 낙태 전 의무적으로 초음파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낙태 시술자는 초음파 검사 시 태아의 상태를 산모에게 상세히 설명해야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시술자는 초음파 검사를 실시할 때 산모가 태아를 볼 수 있도록 초음파 이미지를 보여줘야 하며, 시술 진행 중 아기의 크기, 심장 박동, 외부 및 내부 장기의 존재 여부와 상태 등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모든 의학적 상태와 아기의 건강 상태 등을 산모에게 완전하게 설명해야만 한다. 빅스는 보도자료를 통해 자신의 법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간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행된 낙태 정책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의 낙태 정책은 극악무도하다"고 비판하며, "바이든의 극악무도한 낙태 장려 정책들로 인해 수많은 여성들이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무고한 어린 아기들의 생명을 무참히 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산모의 기회와 선택할 자유 그리고 태아의
현재 미국 내에서 대선을 앞두고 수많은 정책들과 이슈가 나오는 중 낙태라는 이슈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에 미국 연방 상·하원 의원들은 각자 프로 라이프(Pro-Life)와 프로 초이스(Pro-Choice) 정책들을 내어놓고 있다. 현재 각종 설문조사 결과 미국인들의 과반수 이상이 낙태를 반대하며, 낙태 지원보다 임신과 출산 및 갓난아기에 대한 지원을 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와 함께 미국 내에서 최근 인신매매를 당한 이후 생존한 모자의 이야기로 인해 임신 지원센터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진 마리 데이비스(Jean Marie Davis)로 '생명을 위한 행진' 집회 연설에서 자신의 사연에 대해 밝혔다. 그녀는 자신이 10년 전 임신한 몸으로 포주로부터 도망쳤으며 임신 지원센터가 자신의 생명을 구했다며 감사의 인사를 전해 미국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데이비스는 2살 때부터 미국의 33개 주에서 인신매매를 당했다. 그녀는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당시 29살이었고 임신을 한 상황이었지만, 마약에 중독이 되어 있었으며 계속되는 인신매매 생활로 인해 낙태를 계획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포주의 요구로 인해 이미 한 차례 낙태를 한 경험이 있었
바이든 행정부는 현재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책들과 지지율로 인해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그동안 펼쳐왔던 낙태정책으로 미국의 국민들의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기관 콜럼버스-마리스트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반수 이상의 미국인들은 낙태 지원을 반대하고 있으며 낙태 지원보다 임신 중 또는 출산 이후 지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과반수 이상의 미국인들이 낙태를 반대하고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임산부의 자유를 핑계로 낙태를 여성의 권리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바이든 행정부는 임산부와 태아의 생명을 무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진행 중인 낙태 정책과 여성에 대한 소송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돕스 대 잭슨 여성 건강 기구 판결'(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로 이는 미국 수정헌법 14조에 따라 여성의 낙태권이 보장 가능한지를 다툰 판례다. 이에 따르면, 미국 연방 대법원은 수정헌법 14조에서 보장하는 권리 중에는 낙태권을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바이든
최근 월드 와치 리스트(WWL)가 오픈도어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가 2023년 들어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WWL은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6,500만 명 이상의 기독교인들이 신앙 때문에 ‘심각한 수준’의 박해와 차별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전 세계 기독교인들 중 7분의 1에 달하며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전 세계 각지에서 신앙 때문에 박해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WWL에 따르면 신앙을 삶으로 실천한 기독교인들이 2023년 한 해에만 4,998명 사망했으며 이는 보고된 사례만 계수한 것으로 보고되지 않은 사례를 포함할 경우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는 사회와 가정 전 분야에 걸쳐서 존재했다. 가정 내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는 2022년 4,547건에서 2023년 21,431건으로 371% 증가했으며 이는 거의 4배에 가까운 수치로 증가한 수준이다. 그 외에도 교회, 학교, 병원에서의 박해 건수는 2022년 2,110건에서 2023년 14,766건으로 7배나 증가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기독교인들에 대한 억압이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23년 한 해 동안 4만2849명
15일 미국 연방대법원은 미 인디애나주의 트랜스젠더 화장실 소송에 대한 항소를 기각했다. 인디애나주의 마틴스빌 교육구는 그간 학교의 정책에 따라 생물학적 성에 따라서만 화장실과 탈의실 등에 출입이 가능했다. 그러나 2022년 자신이 남자라고 주장하는 생물학적 여학생이 성 정체성에 따른 화장실 사용을 학교 측에 요구했다. 학교 측은 학교 정책에 따라서 이를 금지했다. 이에 여학생의 어머니는 자신의 딸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었다며 인디애나주 '미국 시민 자유 연합'(ACLU)의 도움을 받아 교육구와 중학교 교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소송을 진행한 미국 지방판사 타냐 프랫(Tanya Pratt)은 여학생의 손을 들어주며 여학생이 남자화장실 출입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 이후 학교와 교육구는 항소했으며 2023년 시카고에서 미국 제 7순회 항소법원에서 재판이 진행됐다. 학교와 교육구는 학생들을 '타이틀 나인'(미국 내 교육계에서 성차별을 없애기 위해 제정된 법안)에 의거해 남녀 성별로 구분된 화장실의 합법성과 학생들의 안전을 강조하며 변호했다. 그러나 항소법원은 기존 학교의 정책이 아동의 헌법상 권리를 침해했다고 판결하면서 아이의 손을 들어줬다. 그
텍사스주의 '웨인 수송사'(Wynne Transportation)가 시카고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웨인 사는 이민자 하차를 중단시키는 시카고의 조례가 미국의 헌법과 일리노이주의 헌법을 위반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소송은 1월 5일에 문서가 제출된 이후로 진행되었으며 웨인 사는 시카고에 대해 금지명령을 법원에 요청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조례는 바로 지난 12월 시카고가 발표한 조례이다. 해당 조항에는 지정된 시간과 장소를 벗어난 곳에서 하차하는 승객들을 체포해 감금할 것이라 경고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버스 회사는 시카고가 지정한 장소에서 이민자를 내리기 전에 시에게 사전 통지를 하고 그 이후 시의 승인을 받아야 이민자를 내릴 수 있다. 이를 위반할 시에는 시에서 차를 압류 및 보관을 하며 그 외에도 3천 달러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에 버스 회사들은 처벌을 피하기 위해 이민자들을 언제, 어디서 내려주는지 시에게 더 이상 알려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 NBC에 따르면 소송을 제기한 웨인 사는 시카고에 이미 버스 한 대를 압류 당했으며, 웨인 사의 소송은 해당 조례와 버스 압류 등에 대
미국의 덴버시의 한 병원이 지역 의원들에게 "쏟아지는 이민자들로 인한 재정 위기가 닥쳐 병원이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고 경고했다. 덴버 포스트에 따르면 덴버의 종합병원 '덴버 헬스'(Denver Health)에 2023년 한 해 동안만 약 8천명 이상의 중앙아메리카 이주민들이 치과부터 정신과 상담까지 무려 2만 건 이상 병원 치료를 받았다. 덴버에는 2022년 12월 이후 3만 6천명 이상의 불법 이민자가 입국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베네수엘라 출신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3만 6천여 명의 이민자들 중 약 절반가량이 덴버에 정착하기로 결정했다. 덴버 포스트에 따르면 덴버는 쏟아지는 이민자 유입으로 인해 전년도 약 3500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으며, 이어 지난해 병원 시스템에만 200만 달러가량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막대한 적자 가운데 덴버 헬스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2023년 동안 주정부 및 개인 기부자들이 2천만 달러의 추가 지원금을 기부 및 지원했기에 가능했다. 그러나 지난 해 덴버 헬스는 병원 폐쇄는 가까스로 막았지만 올해 여전히 쏟아지는 이민자들로 인해 점점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덴버 헬스는 작년 막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