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아래 기사는 내셔널리뷰의 알렉산더 윌리엄 살터가 작성한 칼럼을 번역한 것으로, 공공의 영역에서 기독교의 의미를 다루고 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러닝메이트로 J.D. 밴스 상원의원을 선택하면서 기독교와 민족주의에 대한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런 논란의 핵심에는 '미국 내 공공의 영역에서의 종교, 특히 기독교의 적절한 역할'에 대한 질문이 존재한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은 세속적인 공화국이라고 생각하고, 공권력의 지위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신앙을 바로 확인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종교나 그 밖의 소수민족들의 권리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는 칭찬할 만 하다. 우리는, '탈자유주의'(Post-liberalism)를 공언한 이들이 외치는 종교적 권리에 대한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교적 가치판단이 공적인 일에 설 자리가 없다는 견해의 논리적 종착점은 잘못된 것이다. 미국은 실질적으로 기독교 국가이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와, 의미하지 않는 바는 우리들 스스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기독교는 마크 데이비드 홀 교수가 이야기한 것처럼 미국의 건국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의 대부분은 삼위일체를 믿는 기독교도들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예외도 존재했다. 벤자민 프랭클린과 토마스 제퍼슨은 이신론자였고, 존 애덤스는 일원론자였으며, 제임스 매디슨과 조지 워싱턴은 학자들이 오늘날까지도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종교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섭리와 예수의 신성에 대한 믿음은 엘리트 계층을 포함하여, 미국 건국 초기부터 널리 퍼져있었다. 진심을 증명해내기는 어렵지만, 새뮤얼 애덤스, 패트릭 헨리, 존 로이, 로저 셔먼, 존 위더스푼과 같은 중요한 건국의 아버지들의 '정통 기독교 사상'을 받아들이고 표현했다는 것은 분명 중요한 의미가 있다.
독립 선언서는 기독교 세계관을 선포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대부분의 미국인은 선언서의 감동적인 자연권 확언에 익숙한 상태다. 그러나 '생명권', '자유권', '행복추구권'이라는 '양도할 수 없는 권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독립선언서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창조주로부터 부여받았다"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런 고상한 선언은 인간 본성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전제로 한다. 그리스도의 성육신, 즉 신이 사람이 되어 사람을 치유하고 구원한 것이 개인의 존엄성과 자연권의 근원이 된다.
더욱이 선언문에서 창조주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 언어(대법관, 자연의 신)는 당시 개혁 기독교 신앙고백의 표준이었다. 제퍼슨이 문서의 초안을 작성하는 데 미친 엄청난 영향력 조차도, 그 기독교적 기원을 훼손하지 못한다. 그가 인정했듯이 그것은 미국적 정신의 표현이 되고자 '의도된 것'이었으며, 그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기독교적이었다. 새뮤얼 체이스와 같은 개신교도와 차스 캐럴 등의 로마 가톨릭교도는 미국 공화주의 자치의 기독교적 뿌리를 정기적으로 선포했다.
헌법에는 기독교에 대한 노골적인 언급은 없다. 그러나 정치적 약탈에 대한 헌법의 견제는 기독교 정치 사상에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세로 거슬러 올라가면, 기독교계의 뛰어난 사상가들은 일부 사회 집단이 다른 집단을 짓밟는 것을 막기 위해 권력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했다.
마찬가지로 권력 분립과 개개인이 가진 권리(종교의 자유 포함)는 공적인 기독교에서 유래한다. 물론 미국의 헌법적 보호는 기독교인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보호의 출처는 의심할 여지 없이 기독교다.
공적인 기독교는 기독교 민족주의와 다르다.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정치를 이용해 특정 기독교 문화를 퍼뜨리고자 한다. 대신 우리는 정치에 대한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환영해야 한다. 우리는 궁극적인 것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격리할 수 없다.
만일 신이 사람을 구원하기 위해 인간이 되었다면, 우리는 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서로를 대해야 할 특정한 방식이 있다. 신도와 비신도 모두 불가침의 존엄성을 가진다. 공공 정책을 심의하거나 대표자를 선택할 때 기독교인에게 이런 믿음을 제쳐두라고 요구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기독교는 대중들에게 속한다. 이론적으로 그 진실은 이념적 경계를 넘어서야 한다. 이는 실제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신앙을 강요하고 싶어한다'는 비난에 끊임없이 직면해야 하는 보수주의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사실이다.
가령, '프로젝트 2025'에 대한 지속적인 비난 중 "보수주의 옹호가 가난한 사람들을 가장 먼저 해치고, 배제되고 착취당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멸을 조장하며, 백인 기독교인 남성만이 권력을 가지는 세상을 만드려 한다"는 주장이 포함된다. 물론 이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다. 정치적으로 무기력하고 사회적으로 유행하는 기독교만을 용인하는 사람들의 과장된 수사는 예상 가능한 일이며, 그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종교적 보수주의자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미국 우파는 현재 많은 문제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공공의 영역에서의 신앙에 대해서는 처음에 보였던 것만큼 차이가 심하지는 않다.
각각 국가 보수주의와 자유 보수주의가 제시한 원칙에 대한 성명을 고려해보자. 국가 보수주의는 "공공 생활은 기독교와 그 도덕적 비전에 뿌리를 둬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확언한다. 동시에 그들은 신앙을 실천하고, '종교적 또는 이념적 강압'으로부터 자유로울 비신도의 권리를 인정한다.
자유 보수주의는 특별히 종교적인 강령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그들은 '자유의지와 인간됨의 의미의 불가분성에서 비롯된 보편적 자유권'을 담대히 옹호한다. 기독교적 지적 전통에 익숙하다면, 이런 생각의 혈통을 알아볼 것이다. 또는 양심의 자유에 대해서는 그들은 '자신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을 말하고 생각할 권리'를 확언한다.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는 이런 자유들은 기독교에 의해 형성된 도덕적 상상력에서 비롯된다.
합리적인 사람들은 공적 기독교의 한계에 대한 의견이 각각 다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아는 미국에 대해서 기독교의 역사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배제하고는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기독교인은 우리 국가의 신조를 긍정하지만, 종교적 근원을 거부하는 시민의 동등한 존엄성을 인정해야 한다. 그들의 권리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그들이 누구인지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기독교의 진리가 정치와 무관한 것처럼 행동하라는 요구에는 동의할 수 없다. 우리는 "자유가 인간이 아니라 신에 의해 정의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를 알게되어 경악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회의주의가 미국 자체의 도덕적 토대에까지 확장된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아마도 인간 역사에서는 사적 종교로 분류되는 신앙 체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적인 기독교는 존재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신학자인 아브라함 카이퍼가 그리스도의 왕권에 대해 썼듯이, "우리 인간의 전체 영역에서 모든 것에 주권을 행사하는 그리스도가 '나의 것'이 아니라고 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공공의 영역에 대한 하나님의 지배를 선포하는 것은 전형적인 미국적 태도에 해당한다.
데일리인사이트 정성민 기자 |